조사/연구/자료[대한상공회의소] 중소·중견기업 ESG 경영 실사 분석 결과

ESG경영실

중소·중견기업 1천여개 ESG 경영 실사... 환경(E) 부문 가장 취약


- 상의, 1,278개사 ESG 실사데이터 분석 결과 종합평점 10점 만점에 3.5점

- 사회(S) 평점 대비 환경(E)과 지배구조(G) 점수는 절반 수준으로 E, G 부문 여전히 바닥권

- 중소기업 · 비수도권으로 갈수록 ESG경영 전담인력·비용 등 대응역량 격차 커져...

- ESG 데이터 플랫폼 구축 등 수출 기업경쟁력 높이는데 정부·기업 힘 모아야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은 ESG 경영을 실천할 때 환경(E) 부문에서 어려움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E) 부문은 복잡한 환경규제를 제때 파악하기 어렵고, 환경친화적인 시설 및 설비 투자에 많은 비용이 들어 중소기업이 감당할 여력이 없다는 점, 인력난을 겪는 중소기업들이 환경 전문인력을 쉽게 구할 수 없다는 점 등이 주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국내 공급망에 속한 중소·중견기업 1,278개사의 ’22~’23년 ESG 실사데이터 분석 결과, ESG 경영수준을 점수화 했을 때 환경(E) 2.45점, 사회(S) 5.11점, 지배구조(G) 2.70점을 기록했고, 종합평점은 3.55점으로 나타났다.


<그림1> ‘22-’23년도 중소·중견기업 ESG 점수 분포 (10점 만점 기준)

※ 자료. Click ESG 플랫폼

 

상의 공급망ESG지원센터에서는 ESG 경영 확산을 위해 중소·중견기업들의 ESG 경영 수준을 온라인 자가진단 및 제3자 현장실사 방식으로 검증하여 고위험(0~2.99), 중위험(3~6.99), 저위험(7~10) 등 3개 구간으로 구분·관리하고 있다.

 

이 구분에 따르면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ESG 경영 종합평점은 고위험 구간을 탈피했으나, 환경(E) 부문과 지배구조(G) 부문은 고위험 수준에 머물러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분석이다.

 


환경(E) 중 취약한 항목...

재생에너지 사용량 측정 > 생물다양성 보존 노력 > 친환경 제품 順


 

환경(E) 부문 중 평점이 가장 낮은 항목은‘재생에너지 사용량 측정’으로 재생에너지 수급이 아직 충분치 못한데다 온실가스 측정 등 대기오염물질 감축에 관한 준비가 미흡한 중소·중견기업들의 어려운 여건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생물다양성 보전 노력’도 매우 미흡한 항목 중 하나로 나타났는데, 생물다양성 보전에 관한 구체적 정보가 부족하고 생태계 온전성의 장기적 가치에 대한 인식 부족 등이 그 원인으로 분석됐다.

 

이외에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 관리’, ‘재활용 원부자재 사용량 측정’, ‘제품 함유물질 모니터링’순으로 취약한 항목들이 파악되었는데 친환경기술 경영에 따른 자금·시설투자 부담 등이 그 원인으로 꼽혔다.

 

<그림2> 공급망 내 중소·중견기업 환경(E) 부문 취약지표 5항목


취약지표 5항목

평균점수

재생에너지 사용량 측정

0.32

생물다양성 보전 노력

0.33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 관리

0.55

재활용 원부자재 사용량 측정

0.61

제품 함유물질 모니터링

0.65


※ 자료. Click ESG 플랫폼

 

 

사회(S) 부문은 고용·근로환경, 보건안전, 개인정보보호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지표를, 지배구조(G) 부문은 ESG 공시, 윤리경영정책 수립 등 투명경영 및 내부통제·관리에 관한 사항이 주요 측정 대상이다.

 


중소기업 · 비수도권으로 갈수록 ESG경영 전담인력·비용 등 대응역량 격차 커져...


 

중소·중견 협력사들은 만성적 인력 부족 및 비용 부담으로 ESG 경영 전담조직을 갖추지 못하고 있고 체계적 ESG 실천전략을 수립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태반이라는 게 ESG 현장실사요원들의 공통된 의견이었다.

 

실제로 경기도 성남에서 통신장비 솔루션을 생산하여 EU로 수출하고 있는 한 제조업체 대표는“EU에서 공급망실사보고서 작성 및 탄소국경세 등 ESG 규제가 가속화되고 있으나, 가용자원이 부족한 중소기업에서는 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법규준수 및 점검을 위한 컴플라이언스 시스템으로 반영해 낼 수 있는 여력이 없다”고 호소했다.

 

지역별로도 수도권(3.67점)이 비수도권(3.27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수도권은 IT·SW개발 등 비제조업 비중이 높은 반면, 비수도권은 자동차부품, 산업용기계, 화학제품 등 탄소·환경규제에 많이 노출된 제조업종이 다수 분포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기업규모별로는 상장사(4.84점), 외감법인(3.96점), 비외감법인(2.85점) 순을 보여 기업규모가 클수록 ESG 경영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장법인의 경우 기업의 성장성 등 상장심사 종합평가에 대비하여 ESG 경영에 선제적으로 나서는 것으로 해석된다.

 

대한상의 공급망ESG지원센터는 지난해 전국 26개 권역별 공급망ESG지원센터를 설립했고, 1천여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ESG 경영 진단 및 코칭, 컨설팅, 기업 찾아가는 ESG 교육 등 국내기업의 ESG 경영 확산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EU 환경규제, 공시의무화 등으로 기업 어려움이 크다”며“기업의 중복부담 해소와 정보신뢰성 제고를 위한 국가차원의 데이터플랫폼 구축 등 수출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기업이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 분석기간: 20024. 3. 15.(금) ~ 3. 27.(수)

□ 분석 대상: ’22~’23년 실사 수행 국내 공급망 내 협력사 1,278社 [출처: Click ESG 플랫폼]

□ 분석 내용: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3개 부문 66개 항목 ESG 수준 (E 26개, S 27개, G 13개)

□ 실사 방법: 온라인 자가진단, 제3자 검증 병행

□ 위험도 분류: 고위험(0~2.99), 중위험(3~6.99), 저위험(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