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유럽 ESG 이니셔티브와 평가제도

ESG경영실




EU 그린딜 정책을 토대로 기업들 ESG 이니셔티브 준수 중요

공급망실사법(CSDDD)과 ESG 정보 공시 강화로 협력사에도 특정 ESG 이니셔티브 준수 요청



EU가 그린딜 정책을 바탕으로 관련 정책 입법에 속도를 내기 시작하면서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또 공급망실사법(CSDDD, Corporate Sustainability Due Diligence Directive)의 입법이 진행되면서 ESG 정보 공시가 확대되고 ESG 관련 기준이 높아짐에 따라 협력사 선정 시 특정 ESG 이니셔티브 준수를 요청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ESG 이니셔티브가 국내 기업에 새로운 규제 혹은 기회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해 알아보고 EU 진출 시 이니셔티브 활용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ㅇ 공급망실사법(CSDDD, Corporate Sustainability Due Diligence Directive) 이란?

2022년 2월 EU 집행위에서 발표한 법안으로 지속가능성을 기업의 생산활동에 투영하기 위해 공급망 전반에 걸쳐 실사를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전 공급망에 연결된 납품·협력기업의 인권과 환경에 대한 침해 여부를 조사 후ᅠ문제 발견 시 시정하고 해당 내용을 공시해야 한다.


ㅇ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이니셔티브란?

각 산업 내 글로벌 기업에 대한 ESG 행동 강령 또는 지침의 형태로 자율적 규범을 준수하는 협의체 또는 조직을 뜻한다. ESG 이니셔티브는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 기업, 투자자, NGO, 정부와의 협업을 통해 산업 내 ESG 표준, 가이드라인, 프레임워크의 개발 및 구현을 추진한다.


이니셔티브는 국제기구, 비정부기구(NGO), 산업협회, ESG 평가운영사, 금융기관, 정부 기관 등 다양한 조직에서 주도와 협업을 통해 이니셔티브를 만들어 나간다. 이 중 국내기업의 EU 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산업별 ESG 이니셔티브와 ESG 평가운영사에 대해 알아보자.


산업별 ESG 이니셔티브


산업별 주요 ESG 이니셔티브로는 DRIVE Sustainability(자동차), PSCI(제약), The Raw Material Outlook(RMO, 자동차산업 원자재), Responsible Steel(철강), Sustainable Apparel Coalition (SAC, 의류), Roundtable on Sustainable Palm Oil(RSPO, 팜유) 등이 있다.


<산업별 ESG 이니셔티브(알파벳순)>

ESG 이니셔티브

목표

표준

회원 기업

회원사

Drive Sustainability

(벨기에)

자동차 공급망의 사회적, 윤리적 및 환경적 성과의 개선을 위한 협력

· 협력 기업은 각 자동차 기업의 규정 및 국제 기준·업계 관행을 가이드로 사용 가능

· 해당국 법률을 기준점으로 사용(단, 현지 법률 부재 시 회사 표준/정책과 산업 관행 및 국제 프레임워크 준수)
· 관리시스템 구현 - 국제 표준 인증 권장(ISO/MSS/SA8000 등)
· 협력업체는 이니셔티브 해당 법률 준수 및 관련 자료 제공 의무

자동차 제조사(생산, 설계, 조립), 부품 생산기업, 원자재 공급기업, 물류업체 등

BMW GROUP, HONDA, JAGUAR, FORD, TOYOTA ,VOLVO, VOLKSWAGEN 외

PSCI

(영국)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 및 인권, 환경에 지속 가능하고 책임 있는 비즈니스 촉진

·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를 위한 PSCI 평가 및 모니터링
· 윤리, 노동, 건강 및 안전, 환경 및 관리시스템 구축 권장
· 건강 및 안전기준 협력 업체까지 확대
· 온실가스 GHG 배출량 모니터링

제약사, 제조사, 원자재 공급자, 유통업체, 연구기관, 장비 및 기계 공급업체, 서비스 제공자 등 제약 산업 내 운영되는 회사

Abbott, AstraZeneca, Bayer, Baxter, GSK, Roche, Pfizer 외

Responsible Steel

(영국)

지속 가능한 사회에 철강의 기여 극대화 책임있는 철강 조달, 생산, 사용 및 재활용. 표준, 인증 및 관련 도구 개발

· certified steel 인증(파리협정 유엔기후변화협약기준 GHG 배출 준수 및 12개월 테스트 단계 필요)

· 인증서 3년간 유효
· 인증 과정에 다운스트림 포함

철강 생산기업 및 가공기업, 철강 거래기업, 원자재 공급자, 다운스트림 사용자, 산업 협회, 서비스 제공자·광산·최종 생산지는 적용 제외)

VOLVO, 현대제철 U.S.Steel, TATA STEEL, POSCO, Thyssenkrupp, BlueScope 외

RMO(The Raw Material Outlook

(벨기에)

Drive Sustainability에서 개발. 자동차 산업 가치사슬에서 원자재가 ESG에 미치는 영향 관리 및 개선을 목표로 함.

· 협업 추진 및 글로벌 자동차 공급망의 지속가능성 타진
· Drive Sustainability 2030 전략 중 주요 단계
·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을 통한 가치 사슬 추가 분석

Drive Sustainability 회원사 및 협력사, 원자재 생산·거래·유통기업, 제조업체(자동차, 건설, 전자 등)

BMW GROUP, HONDA, JAGUAR, FORD, TOYOTA, VOLVO, VOLKSWAGEN 외

Roundtable on Sustainable Palm Oil(RSPO)

(말레이시아)

산업 이해자들과의 합의를 통해 지속 가능한 팜유 생산, 조달, 사용 증진

CSPO(RSPO Certified Sustainable Palm Oil) 인증 제도 실시근로자, 지역사회 및 복지 증진을 포함 8가지 규정 통과 시 인증 가능

팜유 생산자, 가공업체 및 제조업체, 정부 기관

말레이시아팜유협회(MPOA), Unilever, AAK, Migros 외

Sustainable Apparel Coalition (SAC) (미국)

의류, 신발 산업을 지속 가능하게 이끄는 것

· Higg 지수(Higg Index): 가치사슬 지속가능성 측정을 위해 SAC에서 개발
· FEM, SLM, BRM, PM, MSI의 5개 하위 메뉴에서 지속가능성 평가

의류, 신발, 섬유 산업 기업 및 가치 사슬 내 관련 소매업체, 제조업체, 공급업체 및 기타 관련 이해관계자

ASOS, CAMPER, GAP, NIKE 외

[자료: 기업 홈페이지, KOTRA 브뤼셀 무역관]


산업별 ESG 이니셔티브는 해당 산업은 달라도 대부분 '높은 ESG 및 지속 가능한 산업'이라는 공통된 목표 하에 산업별 표준을 만들고 있다. 회원사로는 산업별 제조사, 협력사, 물류 유통기업, 다운스트림 사용자 등 업계 직접 관련 업체에서부터 시민단체 등의 비정부 기구 및 정부, 연구기관까지도 가입돼 있다. 또한, 산업별 ESG 이니셔티브는 평가, 감사, 모니터링뿐 아니라 산업별 인증제도(팜유: CSPO, 철강: Certified steel)나 자체 인덱스(의류: Higg지수), 혹은 분석 도구(원자재: OEM) 등을 통해 전반적인 ESG 기준의 향상을 촉진하고 있다. 단, 산업별 ESG 이니셔티브 회원 가입 조건에는 높은 수준의 ESG 준수, 산업별 행동 강령 준수, 정기 보고 및 모니터링 등이 조건으로 붙는 경우가 많고 이는 기업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만큼 회원 가입 시 유의가 필요하다.


ESG 평가운영사


ESG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면서 ESG 평가제도를 운용하는 기관 역시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ESG 평가 운영사로는 Bloomberg, Clarity AI, EcoVadis, Moody's, MSCI, S&P Global, Sustainalytics 등이 있다.


<ESG 평가운영사(알파벳순)>

운영사

평가 방법

평가 척도

평가 항목

고객사

Bloomberg

(미국)

공개 정보 기준 평가

0~100

· ESG 지표 바탕 평가(노동 관행, GHG 배출, 폐기물 관리, 이사회 다양성 등)
· Sustainalytics와 ESG 평가 제휴

기업 1만4000개

Clarity AI

(미국)

기업 관련 빅데이터 수집 후 AI 알고리즘을 통한 분석

기업 맞춤형 보고서 제공

· UN SDGs, ESG 위기 분석, 탄소 배출, SFDR 등 다양한 항목 활용한 온라인 평가

Aviva 외 기업 5만 개

EcoVadis

(프랑스)

온라인 설문 응답 기반 평가

0~100
점수로 플래티넘(1%), 골드(5%), 실버(25%), 브론즈(50%) 메달 부여

· 환경, 윤리, 노동 및 인권, 지속 가능한 조달에 대한 50여 개 문항 답변과 증빙을 자체 웹 플랫폼에 업로드. 온라인 평가

Atlinks 외 기업 10만 개

Moody's

(미국)

공개 정보 기준 평가

E/S/G 5점 척도

· ESG 15개 하위 요인, 탄소 배출 전환
· ESG와 신용 등급 상관 여부 포함
· 공급망 실사에 ESG 포함시켜 모니터링 지원
· 일부 기업의 경우 현장 방문 및 대면 논의 가능


MSCI

(미국)

공개 정보 기준 평가검증 과정에서 피평가자 참여 가능

AAA-CCC의 7단계 레벨

(리더, 평균, 후발자로 구분)

· 35개 산업별 핵심 이슈점수(0~10)사용 및 가중치 결합
· 대부분 온라인 분석이지만 추가 정보 수집 위한 현장 방문 가능

기업 8500개

S&P Global

(미국)

설문 응답 및 공개 정보 기준 합산 평가

0~100

· 산업 내 중요성에 따라 ESG 요소에 가중치를 할당 후 정량적 재무 예측
· 평가 과정에서 피평가자 참여 가능

Philip Moris, Kazatomprom, Adidas 외 기업 약 8000개

Morningstar Sustainalytics

(네덜란드)

공개 정보 기준 평가

0~100
주: 위험 분류: 5단계(거의 없음, 낮음, 중간, 높음, 심각)

· 산업별 주요 ESG 이슈, 기타 이슈, 지배구조를 평가
· 보고서 발간 전 피평가자 참여 가능

AIA, Carlsberg, Intel 외 기업 1만4000개

[자료: 기업 홈페이지, KOTRA 브뤼셀 무역관]


평가기관들은 EU 녹색분류체계(EU Taxonomy), 회계기준위원회(SASB),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개 태스크포스(TCFD),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지속가능금융공시제도(SFDR)등의 가이드라인과 운용사의 평가 방식을 교합해 ESG 점수를 산정한다. 



<주요 프레임워크 및 표준화 기관>


1) EU 녹색분류체계(Taxonomy):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제활동에 대한 EU 차원 기준이다. 아래 6개 환경목표와 4가지 판단조건을 충족 시 지속가능한 경제활동으로 인정한다.

판단조건

환경목표

 (1) 하나 이상의 환경목표 달성에 상당한 기여

 (2) 다른 환경목표에 중대한 피해를 주지 않을 것

 (3) 최소한의 사회적 안전장치를 준수

 (4) 규정에 명시된* 기술선별기준(Technical Screening Criteria) 부합

 (1) 기후변화 완화

 (2) 기후변화 적응

 (3) 수자원, 해양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 및 보호

 (4) 순환경제로의 전환

 (5) 오염 방지 및 관리

 (6)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보호 및 복원


2) 지속가능회계위원회(SASB): 미국의 지속가능회계기준위원회가 제정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관련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으로 현재 지속가능성 보고에 있어서 GRI와 함께 가장 널리 채택되는 공시 표준이다.


3) 기후 관련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TCFD): 기후변화가 미치는 기업의 재무적 영향 공개를 위한 프레임워크 및 권고안을 만들기 위해 2015년 설립된 태스크포스로 2017년 기후 관련 리스크 및 기회, 권고안 및 지침, 시나리오 분석의 3가지 권고안을 발표했다.


4)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인류의 보편적 문제(빈곤, 질병, 교육, 여성, 아동, 난민, 분쟁 등)와 지구 환경문제(기후변화, 에너지, 환경오염, 물, 생물다양성 등), 경제·사회문제(기술, 주거, 노사, 고용, 생산 소비, 사회구조, 법, 대내외경제)를 2030년까지 해결을 목표로 둔다. 17개 목표와 169개 세부 목표로 이루어져 있다.


5)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 ISSB): ESG의 투명성 및 비교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재무 보고 표준과 호환되는 지속 가능성 보고 표준을 개발해 통합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6) 지속가능금융공시제도(SFDR): 금융기관의 투자 결정 시 지속가능성 리스크 및 부정적 영향, 금융상품에 대한 지속가능성 정보 제공에 관한 원칙을 제시한다.


기업이 ESG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 경우 △책임감 있고 지속 가능한 조직으로서의 기업 가치 향상 △ 지속 가능한 투자 기회 향상 △ 글로벌기업과의 협력 및 공급망 진입 가능 △ ESG 규정 위반 등의 잠재적 리스크 회피 △EU 기업과의 거래에서 타 기업보다 우위 등의 장점이 있다. 하지만 ESG 평가 방법 및 척도가 운용사마다 다른 경우가 많고 같은 운용사라도 ESG 가중치별로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는 만큼 기업에 가장 유리한 평가를 얻을 수 있는 업체를 선정하는 데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전망 및 시사점


EU 및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에서 지속가능성, ESG는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관련 규제와 소비자 인식이 강화됨에 따라 EU 및 글로벌 기업들이 공급망의 ESG 리스크를 관리하는 사례들 역시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이 속한 산업별 ESG 이니셔티브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파악하고 적극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


향후 EU 공급망실사법(CSDDD) 입법에 따라 인권, 환경 기준이 높은 기업으로 공급망 이전이 예상된다. ESG의 적극적인 관리는 기업의 장기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 새로운 투자 및 협력을 앞당길 수 있으므로 ESG 이니셔티브를 적극 활용해 새로운 성장 동력 및 기회를 창출하는 계기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EU 공급망실사법(CSDDD) 관련 브뤼셀 무역관 심층 보고서 바로가기(클릭)



자료: Drivesustainability, Reseponsiblesteel, Forrester, Sustainalytics, Moodys, Snpglobal, EU 및 KOTRA 브뤼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